[Week 18- Day 5] 회고
# Screen 명령어 사용하기
[Linux] screen 사용법
build 중 서버와 연결이 끊어지거나 컴퓨터를 끄고 퇴근해야 한다면? 1. screen 개념 putty와 같은 ssh 도구로 서버에 접속한 일반적인 사용 예. 서버에 screen 사용하여 접속한 예 두 그림의 차이
dreamlog.tistory.com
screen command in Linux with Examples - GeeksforGeeks
A Computer Science portal for geeks. It contains well written, well thought and well explained computer science and programming articles, quizzes and practice/competitive programming/company interview Questions.
www.geeksforgeeks.org
- 상황 : 웹 스크래핑 작업을 nohub을 사용하여 back ground로 실행하려는데,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 해결책 : screen 명령어로 여러 개의 shell session (window)을 생성하여 작업할 수 있다. 이는 screen 명령어에서 관리해준다.
# GPT 논문 리딩
zero-shot learning = un-supervised learning = task에 대한 힌트가 하나도 주어지지 않는 학습 방식
# 캐글 스터디
Metric AUPRC = 얼마나 Negative와 Positive를 나누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naive하다 = 순진/ 고지식/ 천진하다 (=> 그렇기에 참고를 안함)
프로젝트 개발 접근법
1. Task를 나눠서 보자.
2. regression인지, classification인지 어려운 경우가 있다. binary 분류 * 100 으로 예측할 경우 좋은 성능을 보이기도 한다.
## 피드백
루티너리를 다시 시작했다. 다시 아침에 코딩 문제를 풀고 시작하니, 마음이 한결 가뿐해졌다.
새로운 멘토님과 만나 얘기하는 시간을 갖었다. 1기 캠퍼분이라는 말에 왠지모를 친근감이 느껴졌다.
레벨 3라 그런걸까, 프로덕트 서빙이라 그런 걸까, 바로바로 이해가 되는 것은 아니라서 조금 더 시간을 가지고 공부해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