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자라기 : 애자일로 가는 길 > 김창준
2022. 2. 14. 10:03ㆍAbout Me/독서 로그
성장
- deliberate practice (동기)
- 1만 시간은 경험X, 연습X, 더 나아지기 위해 or 단점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 시간을 말한다.
- 피드백을 짧은 주기로 얻자 (→ 실수 교정 및 행동조정을 위해서)
회고
필자는 동료와 함께 한 해를 되돌아본다고 한다.
- 어떤 걸 느꼈는지
- 어떤 교훈을 배웠는지
나에게 무엇을 투자 → 1, 2년 후를 결정
자기계발(지식/ 능력) → 복리로 돌아온다
Q. 어떤 일을 하였을 때, 성과를 낼 수 있었나요?
- A : 하기로 한 일
- B : A를 개선한 일
- C : B를 개선한 일 (⭐️ 성과! up up 수용하고 올라가 —> 부트스트래핑)
Q. To servive?
→ 학습하기 힘든 환경에서, 학습하기 힘든 주제를 골라야 한다
goal(모호), 선택할 행동(불확실), goal근접했는지(알기어렵), 열린시스템 속, 구조화된 과거기록 별로X
→ 독창성, 사회적민감성, 협상, 설득, 타인돕고 돌보기
→ 암묵지, 직관(타당성&피드백), 독창성, 협력
- 복잡한 상황 이해
- 관찰
- 행동
- (관리 >> 시스템 >>> 사람 >>>> 도구)
- 적극적 읽기 = 무언가 읽을 떄, 구체적인 질문&목적을 가지고 있는 방법 (ex. 새 기능을 추가해볼까?)
- 코칭 = 도구, 전략, 절차 (암묵지) 묻기 (→ 전문지식 없이도 코칭 Ok)
- 협력 = 전화X, 메시지X, 화이트보드O, 종이 O
- idea 여러 개를 공유(⭐️) >>>> 최고 공유 > 하나 공유
심리적 안전감 (⇒ 성공적인 팀)
( 내 의견/ 실수가 드러났을 때, 처벌/ 놀림받지 않는다는 믿음 !! )
- 10분간 성공적인 팀 특징 대화
- 팀이 얼마나 잘하는지 요약 보고
- 결과 면대면 토론
- 팀 개선하도록 지원
애자일
“고객에게 매일 가치를 전하다”
(읽는 중)
반응형
'About Me > 독서 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 > 박해선 (0) | 2022.02.17 |
---|---|
< 감정의 성장 > 김녹두 (0) | 2019.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