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2. 16. 18:27ㆍAbout Me/AI Tech
# Plotly
인터랙티브한 시각화를 위한 라이브러리
배포나 자체로 디자인도 화려해서 다른 라이브러리들보다 경쟁력있음
# RUN 과 CMD, ENTRYPOINT 명령어의 차이?
- docker run 은 명령어를 새로운 Container에서 실행한다. 주로 특정 이미지 위에서 writeable Container을 생성하고, 특정 명령을 사용하여 주어진 명령어를 수행한다.
CMD와 ENTRYPOINT는 shell 명령어는 아니고, Dockerfile 내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다. 두 명령어 모두 Container가 실행할 때 어떤 명령어가 수행되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 ENTRYPOINT는 그 Container가 실행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정의해야 한다.
- CMD는 ENTRYPOINT 명령 또는 Container 내에 Ad-hoc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default arguments를 정의하려고 사용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참고 :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commandline/run/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builder/#understand-how-cmd-and-entrypoint-interact
## 피어 세션
미션 : 카톡 한줄 미션했는지, 어제 스몰톡 얘기, 논문스터디 노션 짜기
정말 환경설정하는 게 은근 제일 힘들다. 도커 이제는 괜찮다 했는데 아닌 것 같다.
다시 우분투에서 python깔고, mlflow 깔면 되겠지 했는데.. pip가 안깔려있고 문서는 읽어야 하고.
그래도 다시 마음을 가다듬고 시작해보자! 이럴 때 일수록 작게 작게 해내다보면 괜찮다.
슬랙보니까 M1 칩셋문제가 나만 그런 게 아니었다. 그래서 카탈리나를 계속 쓰는 분도 있었다.
논문 스터디를 짜는 시간을 갖었는데, 끝나고서 노션에 페이지 짜둘껄 후회를 했다. 그래서 지금 일단 짜놨다.
어떤 대화를 나누었는지 정리를 해야 하는데, 얘기하느라 다 까먹었다. 내일은 계속 말하는 흐름을 적어두자!
카톡 한 줄 미션은 다들 윈도우를 써서 그런지 별로 얘기를 못했다. 어제 스몰톡 때 다들 사람들 만났는지 무슨 얘기했는지 나눴다.
본인은 어떤 걸 했고, 코드는 이러이러하다 설명하는 조도 있었다고 한다. 아 지금 생각해보니 나도 의료AI 동작 얘기를 좀 할 껄.
논문 스터디는 처음에는 기반 논문을 보다가, 나중에 서로 다른 논문을 보자고 결정하고, 다음 주에 관련 논문이 나오면 같이 얘기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이제 다시 도커 MySQL, jupyter notebook, mlflow 설치하러 가야지.
'About Me > AI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 5- Day 5] 회고 (0) | 2022.02.18 |
---|---|
[Week 5- Day 4] 회고 (0) | 2022.02.17 |
[Week 5- Day 2] 회고 (0) | 2022.02.15 |
[Week 5- Day 1] 회고 (0) | 2022.02.14 |
[Week 4- Day 5] 회고 (0) | 2022.02.11 |